- 주 제 : ‘정주’와 ‘계속 이주’ 사이에서의 딜레마- 한국의 이란 여성 유학생들의 문화적 적응과 초국가적 이동성의 전략
- 저 자 : 구기연 (HK연구교수)
- 게재지 : 공간과 사회
- 발행일 : 2024년 11월
- 초 록
본 연구는 한국으로 유학 온 이란 여성들의 초국가적 이동과 이주 현황에 대해 분석한다. 2000년대 이후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유학을 선택한 이들의 동기, 한국에서의 문화적적응 과정, 그리고 학업 후 직면하는 비자와 취업의 어려움을 탐구한다. 특히 ‘정주(settlement)’ 와 ‘계속 이주(onward migration)’ 사이에서 겪는 딜레마에 주목하며, 이란 여성이주자들의 초국가적 이동성 전략을 고찰한다. 연구 결과, 이란 여성 유학생들은 한류 팬덤문화를 통해 형성된 한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와 이란 내 제한적인 여성의 지위로 인해 한국 유학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서 겪는 문화적 차이와 ‘이란인’이라는 국적으로인한 차별, 그리고 비자 취득의 어려움 등은 이들의 한국 정착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학업 후 이들은 한국에서의 정주와 제3국으로의 계속 이주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다. 일부는 한국에서의 정착을 위해 노력하지만, 취업의 어려움과 비자 문제로 인해 캐나다, 독일 등 다른 국가로의 이주를 고려하기도 한다. 이는 고학력 이란 이주민들의 계속 이주 현상을 보여주는 사례로, 글로벌 교육 이주의 새로운 양상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글로벌 교육 이주의 젠더 특정적 경험을 이해하고,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제시함으로써, 더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국제 교육과 이주 환경 조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national mobility and migratory status of Iranian women pursuing studies in South Korea. It explores their motivations influenced by the Korean Wave since the 2000s, their cultural adaptation process in Korea, and the visa and employment challenges they face after graduation. The research focuses on the dilemma between ‘settlement’ and ‘onward migration’, examining their transnational mobility strategies. The findings reveal that Iranian female students choose to study in Korea due to the positive image formed through Korean Wave fandom culture and the limited status of women in Iran. However, cultural differences experienced in Korean society, discrimination based on their Iranian nationality, and difficulties in obtaining visas act as factors hindering their settlement in Korea. After completing their studies, these women struggle between settling in Korea and considering ‘onward migration’ to a third country. While some strive to settle in Korea, employment difficulties and visa issues lead them to consider moving to countries like Canada or Germany. This exemplifies the phenomenon of ‘onward migration’ among highly educated Iranian migrants, reflecting new patterns of global educational migration. Through the experiences of Iranian female students, this study exposes the limitations of South Korea’s international student policies and labor market. It highlights the impact of transnational mobility on individual lives, contributing to the understanding of gender-specific experiences in global educational migration. The research provides insights into the complex dynamics of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cultural adaptation, and post-graduation challenges. It emphasizes the need for more inclusive policies and support systems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unique challenges faced by students from countries like Iran. The study concludes by suggesting implications for South Korea’s international student policies and broader discussions on transnational education and mig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