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거기반의 새로운 지역연구 방법 “데이터 스토리텔링”

연구목표

전통적으로 지역연구는 지역의 독특성을 포착하고 다면적이고 복합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현지조사 및 참여관찰, 그리고 사례 중심의 연구 방법이 주류를 이뤄왔으나, 데이터 시대를 맞아 전통적인 연구 방법을 넘어 실증적 데이터를 통해 지역을 다면적으로 포착하여 새로운 이론적방법론적 종합과 혁신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스토리텔링 클러스터’는 아시아의 지역들과 메가아시아의 역동성을 묘사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데이터텔링을 제시하고자 한다.

‘데이터 스토리텔링 클러스터’는 빅데이터와 머신러닝, 시각화 등 데이터 사이언스와 서사 및 관찰을 기반으로 한 인문학적 통찰을 활용하여 메가아시아의 형성과 역동을 실증적으로 제시하고 비교지역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할 것이다.

메가아시아와 아시아 지역들의 형성과 변주를 탐색하는 ‘메가아시아 연구 클러스터’와 ‘비교지역 연구 클러스터’의 연구활동은 아시아를 재현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이터 스토리텔링 클러스터’의 연구활동과 결합하여 증거기반의 결과로 보완되고 재조명될 것이다.

참여연구진
  • 김종일(고고미술사학과, 공동연구원, 데이터 스토리텔링 연구 클러스터 총괄)
  • 박수진(지리학과, 공동연구원)
  • 임동균(사회학과, 공동연구원)
  • 박선영(HK연구교수, 역사지리 전공)
  • 심우진(HK연구교수, 지리학 전공)
  • 이명무(HK연구교수, 경영학 전공)
  • 허정원(HK연구교수, 사회복지학 전공)
클러스터 연구총서
제 1권. 『Asia’s Heritage Trends: Internal and External Perspectives

이 책에서는 아시아의 문화유산(유형무형)을 중심으로 아시아의 과거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문화유산 데이터’가 아시아의 지역들, 그리고 그 지역들의 역사적 경험에 대해 말할 수 있는 바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두 가지 목표를 동반한다. 첫 번째 목표는 해당 유산에 대한 광범위한 자료를 모으는 것이다. 두 번째 목표는 ‘아시아의 문화유산 동향’을 확인하고, 정의하고, 탐구하며, 그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아시아의 문화유산 경향’ 개념은 유산에 대한 해석과 서술, 그리고 그것의 의미와 가치에 따라 끊임없이 진화하고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아시아의 변화하고 진화하는 문화유산 경향의 세 가지 범주에 – 즉, 1) 미학, 2) 고고학적 진보, 3) 아시아 문하유산에 대한 (국제적 투자 패턴) –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제 2권. 『데이터가 그리는 아시아의 자연환경, Atlas

인문적 요소와 더불어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또 다른 주요 요소는 자연환경이다. 한편 아시아는 세계 육지 면적의 약 30%를 차지하는 가장 큰 대륙인 만큼 지형기후 등 자연환경도 다종다양하다. 그러므로 복잡하고 다양한 아시아의 자연환경 관련 정보들을 수집하여 파악하기 쉽게 정리하는 과정은 아시아 지역들의 역동성과 정체성을 파악하는 기초 자료 구축에 필수적이다.

본 총서는 아시아의 자연환경을 Atlas 형태로 집필코자 한다. 오늘날 많은 국가와 기관들이 지리적인 지식과 다양한 통계자료들을 지도화하여 정보를 정리하는 Atlas를 출간하고 있다. 정보의 지도화는 곧 표준화이므로 Atlas 출간은 아시아의 각종 자연환경 데이터를 표준화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더 나아가 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의 연구 단위인 지역의 현재 모습과 주제별로 달라지는 지역 구분에 대해서도 시각화한 자료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제 3권. 『네트워크 아시아: 데이터로 본 아시아의 흐름과 관계

아시아는 하나인가, 혹은 아시아적인 하나의 정체성은 존재하는가 라는 질문은 단순하지만 대답하기 쉽지 않다. 정치, 경제, 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극도로 다양한 아시아의 국가들의 현황과 아시아의 단일한 정체성을 말하기는 극히 어렵다. 그러나 한걸음 물러서면 아시아를, 다른 대륙과 구별지을 수 있는 공통의 무엇이 분명히 존재하며 역동적으로 변화한다.

본 총서는 관계론적 인식의 렌즈로 아시아를 바라보려 한다. 아시아와 다른 대륙과의 관계, 아시아의 국가, 지역간의 인적, 물적, 정서적 교류의 흐름으로 아시아의 지역과 시대의 변화를 데이터를 통하여 살피려 한다. 구분되는 명확한 경계와 그로 인해 구별되는 정체성을 가진 국민국가의 단위로 이해하려는 ‘실체론적 사고’를 넘어서, 고도로 연결성이 강화된 현대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진 흐름과 관계를 통하여, 아시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위한 인식의 지도를 찾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