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시대, 아시아에 대한 인식틀의 전환  “메가아시아”

연구목표

21세기 아시아의 세기를 맞아 정치경제적 통합과 자기구성의 과정을 통해 거대지역으로서의 ‘새로운 아시아’가 출현하고 있다. 한국은 글로벌 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부응하여 동북아 중심적 시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성장의 기회를 ‘새로운 아시아’에서 찾아야 할 필요가 있다.

거대지역으로서의 ‘새로운 아시아’는 상이하면서도 공통의 역사적 경험을 지닌 ‘여럿이며 하나의 공간’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아시아를 국가나 권역 단위의 ‘부분합’으로 보는 시각을 넘어, 아시아 전체를 유기체적인 단일지역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메가아시아 연구 클러스터’는 메가아시아라는 개념 규정을 통해 아시아를 바라보는 기존 인식과 접근을 탈피하여 아시아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인식을 정립하고자 한다.

참여연구진
  • 주경철(서양사학과, 공동연구원, 메가아시아 연구 클러스터 총괄)
  • 권오영(국사학과 교수, 공동연구원, HK+사업단 부단장)
  • 신범식(정치외교학부, 공동연구원, HK+사업단 부단장)
  • 권헌익(HK교수, 사회인류학 전공)
  • 고가영(HK연구교수, 서양현대사 전공)
  • 윤대영(HK연구교수, 역사학 전공)
  • 조민재(HK연구교수, 문화유산 전공)
클러스터 연구총서
제 1권.『대륙과 메가아시아』

이 책에서는 아시아의 대륙을 배경으로 진행되었던 사람과 물자의 이동, 네트워크의 형성, 그리고 관련 현상들을 연구함으로써 아시아 전체를 하나의 연구단위로 설정하고, 그것을 개념적 및 현상적으로 규명하는 작업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유목민과 농경민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된 유라시아 대륙의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는 이 책의 ‘총론’ 역할을 담당한다. 연결의 동력과 통로들에 대한 연구로서 ‘말과 마차’, ‘사람, 사물, 정보의 이동’, ‘노마드’, ‘사절단’을 다루고자 한다. 또한 ‘당 제국과 그 주변의 네트워크’, ‘스키타이 문화의 네트워크’, ‘러시아의 팽창과 소비에트’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는 대륙을 배경으로 진행된 네트워크의 형성과 작동이 어떻게 거대 지역을 관통하는 ‘공통 가치’의 확립과 재생산에 기여했는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전염병의 교류’나 ‘제노사이드’와 같은 현상에 대한 연구와 유럽인에 의한 ‘아시아’ 개념 규정의 계보학적 연구를 통해 ‘대륙 메가아시아’의 규정 가능성을 냉철하게 평가하고자 한다.

제 2권. 『해양과 메가아시아』

이 책에서는 아시아의 해양을 배경으로 진행되었던 사람과 물자의 이동, 네트워크의 형성, 그리고 관련 현상들을 연구함으로써 아시아 전체를 하나의 연구단위로 설정하고, 그것을 개념적 및 현상적으로 규명하는 작업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책의 ‘총론’에서는 ‘해상 교류 및 교역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푸난과 참파의 중계무역’, ‘불교의 해상 전파’, 그리고 ‘증기선과 아시아 지역간 연결’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는 해양 세계의 연결의 동력과 통로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고대 해양 세계의 small worlds’, ‘해양부 동남아시아의 이슬람화’, ‘동인도회사’, ‘밀수와 해적’, ‘화교와 해양 아시아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는 해양을 배경으로 진행된 네트워크의 형성과 작동이 어떻게 거대 지역을 관통하는 ‘공통 가치’의 확립 및 재생산에 기여했는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구슬(beads)의 교역’과 ‘페라나칸/아편(미정)’과 같은 사례 연구를 통해 ‘해양 메가아시아’ 개념의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타진하고자 한다.

제 3권. 『21세기  메가아시아 형성의 동력, 신대륙주의와 신해양주의』

21세기 ‘아시아의 부상’을 ‘현대 메가아시아 형성’의 동력으로 포착하여 신대륙주의와 신해양주의를 통한 ‘대륙과 해양의 현대 메가아시아’의 탄생, 동력, 네트워크, 사례분석을 통해 메가아시아에 대한 개념적, 현상적 연구를 다층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본 총서에서 총론은 이러한 거시적인 구조변환의 의미를 분석하고, 특히 이러한 변화를 추동하는 주요국가들의 지경학적 전략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현대 메가아시아’를 형성하는 동력들과 연결을 위한 여러 통로들에 대한 연구로서 ‘지역주의’, ‘가치사슬’, ‘교통 및 물류 회랑’ 등을 다루고, 신대륙주의 접근을 통한 대륙 메가아시아, 신해양주의 접근을 통한 메가아시아, 북극항로 접근을 통한 메가아시아를 통해 네트워크로서의 메가아시아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대 메가아시아’의 구체적인 현상으로 ‘이슬람경제’와 ‘한류’ 등을 중심으로 ‘현대 메가아시아’를 깊이 있게 다루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