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메가아시아 관점에서 다문화공간 재사유하기-김해시 외국인거리를 사례로2025-02-12 16:12
작성자 Level 8


  • 주   제 : 메가아시아 관점에서 다문화공간 재사유하기-김해시 외국인거리를 사례로
  • 저   자 :  고일홍 (HK교수), 심우진(HK연구교수) 외 
  • 게재지 : 인문논총
  • 발행일 : 2024년 11월
  • 초   록

    본 논문은 이주민들에 의한 탈영토적인 모빌리티와 다양성이 공존하는 공간을이해하는 분석적 도구로서 ‘메가아시아’와 ‘다문화공간’ 개념을 접목하여 양 개념의 이론적, 경험적 확장을 탐색했다. 지역별 영역주의의 함정을 극복하고 탈식민적 맥락에서 네트워크와 관계를 통해 아시아를 확장적으로 이해하려는 개념인 메가아시아는 거시적 접근의 성과에 비해 미시적 구성에 대한 연구가 그동안 간과되었다. 초국가적 이주와 다문화적 정착을 공간적 접근을 통해 설명하려는 다문화공간은 ‘한국 속의 메가아시아’를 포착하는 개념으로서 유용성을 지닌다. 김해시 외국인거리를 사례로 이 공간의 다중스케일적 구성과 다양성의 공존을 살펴봄으로써 본 논문은 다문화공간의 생산과 작동방식에대한 시론적 분석을 제시했다. 다문화공간은 지구적 과정이 로컬의 특수한 역사성 및 장소성과 결합하면서 창발적으로 생성되며 이는 김해시 외국인거리의 발전경로와 구성을통해 잘 드러난다. 이러한 다문화공간은 이종 간의 일상적 마주침을 매개하면서 다양성의 공존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다문화적 전환의 기로에 선 한국 사회에 큰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paper combines the concepts of “Mega-Asia” and “multicultural space” as an analytical tool to understand the mobility of immigrants and the space where diversity coexists, and explores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expansion of both concepts. Mega-Asia is a concept that seeks to overcome the pitfalls of regional territorialism and to understand Asia expansively as networks and relationships in a post-colonial context. It involves both macroscopic and microscopic approaches, but the latter has not been properly explored compared to the former. Multicultural space, which seeks to explain transnational migration and multicultural settlement by adopting a spatial approach, is useful as a concept that can help observe the “Mega-Asia within Korea.” By examining the multi-scale composition of this space and the coexistence of diversity using the “Foreigner Street” in Gimhae City as an example, this paper presents a theoretical analysis of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multicultural space. Multicultural space is created in an emergent way, as global processes combine with local history and place; this is clearly revealed through the development trajectory and composition of Gimhae City’s Foreigner Street. These multicultural spaces have great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which now finds itself at the crossroads of a multicultural transition, in that it seeks to coexist with diversity while mediating daily encounters between different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