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공공(대중) 고고학의 기원, 발전 과정 및 필요성 (조민재)2025-09-01 13:10
작성자 Level 8
  • 주   제 : 공공(대중) 고고학의 기원, 발전 과정 및 필요성
  • 저   자 : 조민재
  • 게재지 : 한국고고학보
  • 발행일 : 2025년 06월
  • 초   록

    본 연구는 공공(대중) 고고학(Public Archaeology)의 기원과 발전 과정을 고찰하고, 현대 고고학 교육 및 실천에 이 분야를 포괄적으로 도입할 필요성과 중요성을 분석한다. 또한,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대중 고고학’으로 불리는 이 분야를 ‘공공 고고학’으로 명명할 필요성이 있는 이유를 논의한다. 전 세계적으로, 특히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고고학을 공공 영역과 연결할 필요성과 중요성이 점차 강조됨에 따라, 박물관 및 현장 중심의 교육·체험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천적 확산에도 불구하고, 공공(대중) 고고학이 어떻게 그리고 왜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맥락적 이해와 이론·방법론적 체계화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그와 같은 이유로 많은 국가에서 공공(대중) 고고학을 단순히 고고학의 대중 홍보 및 소통 수단으로만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공공(대중) 고고학의 기원과 발전 과정을 포괄적으로 검토하면,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고고학자들이 왜 고고학을 적극적으로 공공 영역과 연결할 필요성을 느꼈는지, 그리고 나아가 왜 이 분야를 고고학 내부에서 독립된 학문 체계로 정립했는지를 더욱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대중) 고고학이 학계에서 어떤 방식으로 관심을 끌었으며, 주요 대학 또는 연구기관에서 어떻게 제도적으로 채택되고 독자적인 이론과 방법론을 발전시켜 왔는지를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이를 통해 공공(대중) 고고학이 학문 분야로서 체계적으로 정립된 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고고학 교육 및 실천에 이를 통합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향후 공공(대중) 고고학의 체계적 도입과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