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 | ‘향당(鄕黨)의 공공화’, 상주 사족의 존애원(存愛院) 설립과 유의(儒醫) 성람(成灠)(김호) | editor | 2023-09-20 | 42 |
31 | 地圖와 地誌의 기록으로 본 은평 지역의 지명(박선영) | editor | 2022-09-14 | 46 |
75 | 戊午(1798)燕行, 夢想과 理想의 노정(김호) | editor | 2024-01-10 | 11 |
1 | 경계를 넘어서: 동아시아 시각에서 본 고구려 벽화(김병준) | editor | 2021-06-07 | 143 |
2 | 고고학 자료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래유물 유통망 검토: 영남지역 무덤 출토 오수전의 해석을 위한 융복합적 시도(고일홍) | editor | 2021-06-07 | 87 |
50 | 고추의 확산과 매운맛의 세계화(주경철) | editor | 2023-03-13 | 55 |
41 | 공인된 독재담론의 관점으로 본 유산에 대한 연구-박정희 정권 시기의 유산정치를 중심으로-(조민재) | editor | 2023-01-25 | 39 |
42 | 과거 경로 연구를 위한 최소 비용 경로 방법과 확률론적 접근법의 활용성 평가: 조선 시대 10대로 중 봉화로와의 비교를 사례로(심우진) | editor | 2023-01-25 | 68 |
38 | 국내 민간 메이커 스페이스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공공성의 역설을 중심으로(이명무) | editor | 2023-01-25 | 45 |
3 | 국내 신문기사로 살펴본 한국의 난민이슈의 변동(구기연 외) | editor | 2021-06-07 | 109 |
24 | 국제 사회의 여성 인권 규범과 이슬람권 내 페미니즘의 흐름과 동향(구기연) | editor | 2022-05-04 | 115 |
70 | 근거 기반의 이민정책 수립을 위한 국내 이주민 대상 통계 검토(허정원 외) | editor | 2023-11-08 | 63 |
65 | 근대지형도 수록 지명의 가타카나 표기 특징 분석-인천광역시 자연지명을 사례로-(박선영 외) | editor | 2023-09-20 | 80 |
43 | 근대지형도의 지명과 기호로 본 평양의 장소성(박선영) | editor | 2023-01-25 | 62 |
62 |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시대의 북한 고고학 비교-조선고고연구 멀리서 읽기(고일홍) | editor | 2023-09-20 | 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