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본서의 제목 『아시아를 상상하다: 닫힘과 열림』에는 두 가지 ‘상상’이 겹쳐져 있다. 우선, 아시아가 과거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선언적 개념이라는 점을 드러내기 위해, 현재의 우리가 과거의 아시아를 상상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과거에는 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자신의 공동체를 넘어선 (우리사 ‘아시아’라고 부를 수 있는) 더 큰 공동체를 상상했다고 여기고 있다. 즉, 현재 메가아시아의 지점을 확인하면서, 동시에 메가아시아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려는 것이다. 본 연구사업의 1단계에서는 ‘메가아시아’라는 개념이 상상 속의 개념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 전통시대 아시아 각 지역의 구체적인 역사문화권을 확인하려고 했다. 거시적이고 선언적인 메가아시아를 탐구하기 위해 그 정체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전통시대 아시아의 각 지역에서 어떻게 아시아를 상상했는지를 밝혀내는 작업의 전제 조건으로 구체적 역사의 선결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목차

해제. – 김병준(서울대학교)
제1장. 원형과 변주: 복속 이민족에 대한 한(漢) 제국의 인식과 통치 – 이주현(동아대학교)
제2장. 명 태조 주원장의 고려국왕 책봉: 조작된 기록, 책봉의 실상 – 구범진(서울대학교)
제3장. 16세기 일본인의 자국 인식과 ‘무국(武國)’ – 박수철(서울대학교)
제4장. 16~17세기 격동하는 동아시아 해양 질서 속 팽호와 대만 – 채경수(경상국립대학교)
제5장. 따라잡기형 발전모델과 16~19세기 아시아의 설탕 교역 – 강진아(한양대학교)
제6장. 15~18세기 중국 동남 지역과 해양 질서의 모호성: 류쿠(琉球)를 중심으로 – 조영헌(고려대학교)
제7장. 카르트朝 말릭 샴스 앗 딘을 통해 본 13세기 중·후반 몽골 제국의 세계 질서 – 김석환(서울대학교)
제8장. 오스만 제국 전반기(1299~1600) 술탄이 지닌 아이덴티티의 변용 – 오가사와라 히로유키(小笠原弘幸)(규슈대학)
제9장. 인도를 상상하다: 여신, 지도, 이름 – 구하원(서울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