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소개
지리학 박사로서 최근 3년간(2022~2024) 빅데이터, GIS, 머신러닝 등 디지털·공간정보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연구를 수행하며, 국내외 다양한 학술지에 연구 성과를 발표해왔다. 특히, 국제 저명 저널인 Forests (SCIE), The Professional Geographer (SSCI), Journal of Computer Applications in Archaeology (SCOPUS)를 비롯해 KCI 등재 국내 학술지 7편을 포함한 총 10편의 논문을 게재하며,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결합한 지역연구 및 공간분석 분야에서 연구 역량을 지속적으로 축적해왔다.
대규모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분석하는 역량을 강화해왔으며, 특히 Python 기반 자동화 프로그래밍을 통해 효율적인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축해왔다. 또한, GIS 기반 시각화 기법을 활용하여 지역별·국가별 데이터를 공간적으로 구조화함으로써, 연구 성과를 단순한 논문 출판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스케일에서 활용 가능한 의사결정 지원 도구로 확장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국가별·기관별로 축적된 방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통합·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메가아시아 사업단이 운영하는 《메가아시아 데이터 대시보드》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현재 해당 플랫폼에는 아시아 각국의 주요 매크로 데이터를 집약·공유하는 기능과 GIS 기반 시각화 모듈이 도입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연구에서 필수적인 데이터텔링(Data-telling) 접근법을 더욱 정교하게 발전시키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공간분석 역량을 바탕으로, 메가아시아 연구가 제기하는 지속가능성, 현안 대응, 내부 교류 양상 등의 주제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있다. 나아가, 아시아 각 지역의 특수성과 공동의 과제를 정량적·시각적·동태적 분석을 통해 통합적으로 조망하며, 이를 기반으로 미래 대응 전략을 설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대표논저
2024, 「디지털 토양도 작성 기법을 적용한 산림 토양 탄소 저장량 평가: 편마암 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지형학회지』, 31(3). (주저자)
2024, 「산림 토양 탄소 저장량 평가를 위한 효과적인 표본 조사 설계 및 환경상관성」, 『대한지리학회지』, 59(4). (주저자)
2024, 「의성군의 하천 유로 변화와 취락 분포 양상」,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0(1). (주저자)
2024, 「머신러닝 기반 산림 토양 pH의 디지털 토양도 작성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58(1). (주저자)
2023, 『국가와 도시로 읽는 아시아 지리지 – 동북아시아』, 푸른길 (공저)
2023, 『국가와 도시로 읽는 아시아 지리지 – 동남아시아·남아시아』, 푸른길 (공저)
2023, 『국가와 도시로 읽는 아시아 지리지 – 서아시아·중앙아시아』, 푸른길 (공저)
2023, 『메가아시아 연구 입문: 역사, 시각, 방법』, 진인진 (공저)
2023. 「Multiplicity and Path Dependency in the Modeling of Historical Routes: A Case Study of the Wonju Basin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rofessional Geographer』,, 1-12. (공저)
2023. 「High-Resolution Digital Soil Maps of Forest Soil Nitrogen across South Korea Using Thre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orests』, 14. (주저자)
2022. 「과거 경로 연구를 위한 최소 비용 경로 방법과 확률론적 접근법의 활용성 평가: 조선시대 10대로 중 붕화로와의 비교를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56(4). (주저자)
2022. 「습지 생태계에서 사면유형에 따른 토양특성의 공간적 이질성: 고창 운곡 습지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8(4). (주저자)
2022. 「‘Benefit Maximizing Rout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Using the Historical Roads of Korea’s Joseon Dynasty (1392–1910)」, 『Journal of Computer Applications in Archaeology』, 5(1). (주저자)
2021. 「메가아시아 탐색을 위한 새로운 양적 지역연구방법론의 필요성과 가능성: 국내 변수중심 지역연구를 중심으로」, 『아시아리뷰』, 11(2). (주저자)
2021. 「사면관리단위로써 사면유형화방법의 적용 가능성 평가: 산사태 발생지점과 산지전용허가지점의 비교를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55(2). (주저자)
2021. 「메가아시아 탐색을 위한 새로운 양적 지역연구방법론의 필요성과 가능성: 국내 변수중심 지역연구를 중심으로」, 『아시아리뷰』, 11(2). (주저자)
2020. 「카테나 개념을 이용한 사면유형화 방법의 개발과 평가」, 『대한지리학회지』, 55(3). (주저자)
2019. 「Multi-decadal Shoreline Change Interpreted from Aerial Photographs in Ilgwang Beach, South Korea」, 『Jounral of Coastal Research』, 91. (공저)
2018. 「북한 토양정보 예측기법의 개발 – 북한토양정보의 중요성과 토양형 추정」, 『대한지리학회지』, 53(5). (주저자)
2018. 「산지 경계 추출을 위한 지형학적 변수 선정과 알고리즘 개발」, 『한국지형학회지』, 25(3). (공저)
2018. 「The Necessity of Coastal Management in Busan considering Human and Natural Conditions: The Case of the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Jounral of Coastal Research』, 85. (주저자)
수상 실적
2025, 한국지형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2020,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분야 우수 학위논문상 수상